1
0
mirror of https://github.com/privacyguides/i18n.git synced 2025-09-01 19:08:46 +00:00

New Crowdin translations by GitHub Action

This commit is contained in:
Crowdin Bot
2023-04-12 04:04:23 +00:00
parent fa99d5df46
commit f7fb41c11c
51 changed files with 376 additions and 587 deletions

View File

@@ -4,36 +4,36 @@ icon: 'material/eye-outline'
description: 위협 모델은 개개인마다 다르지만, 이 사이트의 방문자 대부분이 관심을 가질 사항입니다.
---
전반적으로, Privacy Guides의 권장 목록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위협](threat-modeling.md) 혹은 목표로 분류됩니다. 여러분이 사용하는 툴 및 서비스는 여러분의 목표에 따라 달라지며, ==이러한 위협 가능성에 대한 관심도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You may have specific threats outside of these categories as well, which is perfectly fine! The important part is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the benefits and shortcomings of the tools you choose to use, because virtually none of them will protect you from every threat.
전반적으로, Privacy Guides의 권장 목록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위협](threat-modeling.md) 혹은 목표로 분류됩니다. 여러분이 사용하는 툴 및 서비스는 여러분의 목표에 따라 달라지며, ==이러한 위협 가능성에 대한 관심도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혹시나 여기에 정리되지 않은 종류의 위협을 겪고 있더라도 상관 없습니다! 핵심은 '사용하기로 선택한 툴의 장단점을 이해하는 것' 입니다. 모든 위협으로부터 여러분을 완벽히 보호할 수 있는 툴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 <span class="pg-purple">:material-incognito: 익명성</span> - 온라인 활동에서 실제 신원을 보호하여, *여러분의* 신원을 밝혀내려는 사람들로부터 여러분을 보호합니다.
- <span class="pg-red">:material-target-account: 표적 공격</span> - *당신의* 데이터나 기기에 세부적으로 접근하려는 해커 및 그 외 악의적인 상대로부터 보호합니다.
- <span class="pg-orange">:material-bug-outline: 소극적 공격</span> - 멀웨어, 데이터 유출 등 다수의 사람을 한꺼번에 대상으로 삼는 공격으로부터 보호합니다.
- <span class="pg-orange">:material-bug-outline: 수동적 공격</span> - 멀웨어, 데이터 유출 등 다수의 사람을 한꺼번에 대상으로 삼는 공격으로부터 보호합니다.
- <span class="pg-teal">:material-server-network: 서비스 제공자</span> - (여러분의 데이터를 서버에서 읽을 수 없도록 하는 E2EE 등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여러분의 데이터를 보호합니다.
- <span class="pg-blue">:material-eye-outline: 대중 감시</span> - 여러분의 활동을 추적하기 위해 협력하는 정부 기관, 단체, 웹사이트, 서비스로부터 보호합니다.
- <span class="pg-brown">:material-account-cash: 감시 자본주의</span> - Google, Facebook 등의 거대 광고 네트워크 및 기타 수많은 제3자 데이터 수집 업체로부터 여러분을 보호합니다.
- <span class="pg-green">:material-account-search: 공개 노출</span> - 여러분에 대한 정보를 (검색 엔진이나 일반 대중이) 온라인에서 접근하는 것을 제한합니다.
- <span class="pg-blue-gray">:material-close-outline: 검열</span> - 정보 접근을 제한하는 검열을 회피하고, 온라인상에서 자신의 주장이 검열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Some of these threats may be more important to you than others, depending on your specific concerns. For example, a software developer with access to valuable or critical data may be primarily concerned with <span class="pg-red">:material-target-account: Targeted Attacks</span>, but they probably still want to protect their personal data from being swept up in <span class="pg-blue">:material-eye-outline: Mass Surveillance</span> programs. Similarly, many people may be primarily concerned with <span class="pg-green">:material-account-search: Public Exposure</span> of their personal data, but they should still be wary of security-focused issues, such as <span class="pg-orange">:material-bug-outline: Passive Attacks</span>—like malware affecting their devices.
대응해야 할 위협의 우선 순위는 개인의 관심도에 따라 바뀔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요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가장 신경쓰는 위협은 <span class="pg-red">:material-target-account: 표적 공격</span>일 테지만, 개인 데이터를 <span class="pg-blue">:material-eye-outline: 대중 감시</span> 프로그램들로부터 보호하고 싶은 의향 또한 가지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장 우려하는 위협은 개인 데이터의 <span class="pg-green">:material-account-search: 공개 노출</span>일 테지만, 기기 감염 멀웨어 등의 <span class="pg-orange">:material-bug-outline: 수동적 공격</span> 보안 문제 또한 주의해야 합니다.
## 익명성 vs 프라이버시
<span class="pg-purple">:material-incognito: 익명성</span>
Anonymity is often confused with privacy, but they're distinct concepts. While privacy is a set of choices you make about how your data is used and shared, anonymity is the complete disassociation of your online activities from your real identity.
익명성은 프라이버시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지만,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프라이버시'는 여러분의 데이터가 사용 및 공유되는 방식을 여러분이 선택할 권리를 의미하고, '익명성'은 온라인 활동을 실제 신원과 완전히 분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Whistleblowers and journalists, for example, can have a much more extreme threat model which requires total anonymity. That's not only hiding what they do, what data they have, and not getting hacked by malicious actors or governments, but also hiding who they are entirely. They will often sacrifice any kind of convenience if it means protecting their anonymity, privacy, or security, because their lives could depend on it. Most people don't need to go so far.
예를 들자면, 내부 고발자나 언론인은 완전한 익명성을 요구하는 극단적인 위협 모델이 필요합니다. 무엇을 하는지, 어떤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를 숨기고, 악의적인 상대나 정부로부터의 해킹을 막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누구인지'도 완전히 숨겨야 합니다. 익명성, 프라이버시, 보안을 위해서라면 어떤 편의성도 포기할 수 있을 겁니다. 목숨이 달렸을 테니까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습니다.
## Security and Privacy
## 보안, 프라이버시
<span class="pg-orange">:material-bug-outline: Passive Attacks</span>
<span class="pg-orange">:material-bug-outline: 수동적 공격</span>
Security and privacy are also often confused, because you need security to obtain any semblance of privacy: Using tools—even if they're private by design—is futile if they could be easily exploited by attackers who later release your data. However, the inverse isn't necessarily true: The most secure service in the world *isn't necessarily* private. The best example of this is trusting data to Google who, given their scale, have had few security incidents by employing industry-leading security experts to secure their infrastructure. Even though Google provides very secure services, very few people would consider their data private in Google's free consumer products (Gmail, YouTube, etc.)
보안, 프라이버시도 자주 혼동됩니다. 프라이버시를 지키기 위해서는 보안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프라이버시 중점적으로 설계된 서비스라 하여도 해당 서비스의 보안이 취약해 어떤 공격자가 손쉽게 데이터를 유출 및 악용할 수 있다면 무용지물입니다. 하지만, 반대로 뛰어난 보안에 프라이버시가 항상 뒤따라오는 것은 아닙니다. 완벽한 예시로 Google이 있습니다. Google은 업계 최고의 보안 전문가를 고용해 인프라를 보호하여 보안 사고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Google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보안은 매우 안전하지만, Google 무료 서비스(Gmail, YouTube 등)에서 자신의 데이터가 비공개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When it comes to application security, we generally don't (and sometimes can't) know if the software we use is malicious, or might one day become malicious. Even with the most trustworthy developers, there's generally no guarantee that their software doesn't have a serious vulnerability that could later be exploited.
애플리케이션 보안 측면에서는, 일반적으로 우리는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악성 소프트웨어인지 혹은 언젠가 악성 소프트웨어가 될지는 알지 못합니다(때로는 알 방법이 없습니다). 아무리 믿을 만한 개발자라 해도, 훗날에 악용될 수 있는 심각한 취약점이 존재하지 않을 거라는 보장은 일반적으로 없습니다.
To minimize the damage that a malicious piece of software *could* do, you should employ security by compartmentalization. For example, this could come in the form of using different computers for different jobs, using virtual machines to separate different groups of related applications, or using a secure operating system with a strong focus on application sandboxing and mandatory access control.
악성 소프트웨어가 일으킬 *수도 있는*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구획화를 이용한 보안을 적용해야합니다. 작업 종류마다 다른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연관 그룹별로 분류해 가상 머신에서 사용하거나, 애플리케이션 샌드박스 격리 및 필수 접근 제어 기능에 특화된 보안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 tip